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roject
- 리액트 네이티브
- 태그
- 코딩테스트
- 프로젝트
- javascript
- 리액트네이티브
- 자바
- 티스토리챌린지
- React Native
- PCCE
- 파이어베이스
- firebase
- 코딩
- 코테
- 프로그래머스
- 백엔드
- Spring
- ReactNative
- node.js
- map
- java
- React
- 리액트
- 오블완
- 자바스크립트
- 2025 프로그래머스 코드챌린지 2차 예선
- 스프링
- expo
- controller
- Today
- Total
목록프론트 (46)
양갱의 개발 블로그

이제 요구사항 모두 작성했고, 깃허브 레파지토리, 프로젝트 생성까지 마무리 했습니다. 매번 새로운 프로젝트를 확인할 때 폴더구조를 제일 먼저 보게 되는데 내 프로젝트가 아닌 이상 폴더구조를 파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었습니다. 물론 파악을 하는 하루 종일 걸리는 건 아니었지만, 이게 어디에 있지? 어디서 import한거지?를 찾는 데 투자한 시간이 아깝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일단 타입스크립트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어떤 폴더구조를 찾는지 궁금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에서 Redux(리덕스)도 사용해보고자 하며 폴더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타입스크립트의 폴더 구조처음 프로젝트를 생성했을 때 볼 수 있는 폴더 구조 입니다.위와 같이 src/, index.html, package.json,..

이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리덕스를 사용해보라고 하더라구요! 근데 사용해본 경험이 없어서 이번에 정리하면서 알아보고 제대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리덕스의 개념과 사용하는 이유,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리덕스를 사용하기 전에 리덕스 문서를 한번 살펴봐야겠죠? 저는 사용할 때 문서를 한번이라도 꼭 읽어보는게 좋다고 생각해요 https://ko.redux.js.org/ Redux - 자바스크립트 앱을 위한 예측 가능한 상태 컨테이너. | Redux 자바스크립트 앱을 위한 예측 가능한 상태 컨테이너. ko.redux.js.org Redux란? 리덕스는 자바스크립트 앱을 위한 예측 가능한 상태 컨테이너입니다. 리덕스는 앱을 만들면서 상태관리할 수 있는 거라고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어요. 앱의 ..

jsp란? JSP( Java Server Pages) 란 Java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를 생성하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HTML 코드에서 Java 코드를 넣어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도구 입니다. JSP는 Servlet을 보다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실제로는 JSP 파일은 서블릿으로 변환되어 실행됩니다. ** Servelt :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서버측 프로그램 페이지 이동방법 포워드(forward) 포워드(forward)는 현재 실행 중인 페이지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 내의 다른 리소스를 요청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URL은 변경되지 않으며, 이미 생성된 request, response 객체가 그대로 전달 됩니다. RequestD..

Redux란? Redux란 JavaScript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 사이드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주로 React나 Angular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와 함께 사용되며,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줍니다. React나 다른 뷰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dux는 매우 작지만 사용 가능한 애드온이 많습니다. Single Source of Truth(진실의 단일 출처) : Redux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상태를 하나의 JavaScript객체 트리로 저장합니다. 이 객체 트리는 "Store"라고 부르며, 이것은 앱 내에서 유일합니다. State is Read-Only(상태는 읽기 전용) : Redux에서..

프론트 엔드 개발을 하면서 자주 들었던 말로 Web Server가 있을 겁니다. Web Server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Web Server란? Web Server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웹 서버는 주로 HTTP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며, 사용자와 요청한 웹페이지나 다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정적 파일 서비스 : 웹 서버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정적 파일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파일에는 HTML, CSS, JavaScript 파일, 이미지 및 비디오 등이 포함 될 수 있니다. HTTP 지원 : 웹 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클라이언트와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어야 합니다. HTTPS 지원 : 많은 웹 서버..

우리가 쉽게 인터넷에 접속할 때 URL에는 http:// 또는 https://로 되어 있을 겁니다 이번에는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HTTP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HTTP 프로토콜이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웹을 개발하는 사람이라면 알아야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 프로토콜(Protocol) : 컴퓨터들끼리 HTML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소통방식 또는 약속 하단의 사진처럼 http, https가 프로토콜입니다. 웹에서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방식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론트 엔드 개발자라면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지식입니다. HTTP 프로토콜의 특징 무상태성(Stateless) : 각각의 요청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