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
- React Native
- 코테
- 리액트네이티브
- project
- 자바스크립트
- firebase
- javascript
- map
- 스프링
- 리액트 네이티브
- controller
- React
- 코딩테스트
- 티스토리챌린지
- ReactNative
- 자바
- Spring
- 리액트
- 2025 프로그래머스 코드챌린지 2차 예선
- 프로그래머스
- 백엔드
- 오블완
- 프로젝트
- expo
- PCCE
- 코딩
- 태그
- 파이어베이스
- node.js
- Today
- Total
목록백/백엔드 (9)
양갱의 개발 블로그

오늘은 Auth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프로젝트를 혼자하다 보니 조금씩 지체되고 있는데 하루 빨리 진행해보고 싶네요. 지금은 프론트엔드 기본 컴포넌트들을 정리하고 있고 스토리보드까지 완료한 상태입니다.처음 진행할 내용으로 회원가입과 로그인이라 간단하게 Auth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로그인과 회원가입은 '입력값이 동일하면 완료',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고 회원가입 클릭'하면 완료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냥 디비 접속해서 true, false, 값 저장만 하면 되지 않나?'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대학시절 어깨 너머 들었었던 auth와 firebase로 auth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데 잘 알지 못하면서 사용했었고 면접에서도 해당 내용이 있었지만 잘 대답하지 못했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운영체제를 공부하면 꼭 배우는 내용입니다.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배우고 cpu 스케쥴링이든 동기화든 다양하게 배웁니다. 이번에 간단하게 정리하여 비교하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세스와 스레드는 운영체제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두가지 주요 방법입니다.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각각의 특징과 사용 방식에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Process란? 프로세스(Process)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를 의미합니다. 각 프로세스에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코드, 데이터, 스택 등)과 시스템 리소스(CPU 시간, I/O 디바이스 등)가 할당됩니다. 프로세스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한 프로세서에서 다른 프로세서의 메모리 영역을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 대신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

스프링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 자바 이구 그 다음으로 MVC 패턴입니다. 어떤 내용인지 정리하고 프로젝트를 시작하겠습니다! MVC 패턴이란?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은 소프트웨어 설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모델, 뷰, 컨트롤러라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방법론입니다. MVC 패턴은 1970년대에 Trygve Reenskaug이 제안하였으며 Smalltalk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모델-뷰-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델(Model) : 애플리케이션의 핵심적인 비지니스 로직을 담당합니다. 데이터 베이스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데이터 연산을 수행합니다. 뷰(View) : 사..

노트북을 키고 구글을 들어갈 때 네트워크 연결 확인을 해야하죠. 그 네트워크에 대해 제가 이해한 만큼 작성해보겠습니다. 네트워크(Network)란? 네트워크(Network)란 컴퓨터 간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Net + Work의 합성어로 컴퓨터들이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 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를 의미합니다. 자바는 풍부한 네트워킹 API를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웹 서버와 상호작용하며,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제어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네트워크의 종류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줄임말로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입니다. 우리가 집이나 학교, 회사에서 사용하는 공유를 중심으로 컴퓨터나 노트북, 인터..

Synchronize(동기화) Synchronize는 동기화라고 영문번역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동기화란 무엇인지 알아야 겠죠? 동기화란 시스템을 동시에 작동하기 위해 여러 사건들을 조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즉 여러 작업을 동시작업 하기 위해서 조정해주는 과정을 동기화 하는 것입니다. 컴퓨터공학적으로 접근했을 때 동기화란, 여러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동시에 공유자원에 접근하려고 할 때,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그들 사이의 실행 순서를 제어하는 기법입니다. 여러 작업들이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게 동기화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스레드가 같은 메모리 영역에 쓰기 작업을 시도한다면, 어떤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동기화..

Memory란? 메모리란 컴퓨터에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정보를 보관하는 장치입니다. 하드웨어 적으로 메모리는 컴퓨터 메모리라고 알려져 있는 주기억장치인 RAM이라고도 합니다. 하드디스크에 보관된 정보는 전원이 꺼져도 사라지지 않고 보관되지만 휘발성 메모리에 올라간 정보는 전원이 꺼지면 모두 사라집니다. 메모리 종류 1. RAM (Random Access Memory) RAM은 컴퓨터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현재 처리 중인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입니다. 이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에는 CPU가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RAM은 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지면 그 안의 모든 정보가 사라집니다. 2. ROM (Read Only Memory) ROM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