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5 프로그래머스 코드챌린지 2차 예선
- ReactNative
- 오블완
- 태그
- 자바스크립트
- 프로그래머스
- expo
- 코딩
- javascript
- 티스토리챌린지
- map
- 리액트 네이티브
- PCCE
- 리액트네이티브
- 프로젝트
- React
- 코테
- firebase
- Spring
- 백엔드
- 코딩테스트
- 스프링
- java
- React Native
- 자바
- 리액트
- node.js
- 파이어베이스
- controller
- projec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2)
양갱의 개발 블로그

Redux란? Redux란 JavaScript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 사이드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주로 React나 Angular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와 함께 사용되며,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줍니다. React나 다른 뷰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dux는 매우 작지만 사용 가능한 애드온이 많습니다. Single Source of Truth(진실의 단일 출처) : Redux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상태를 하나의 JavaScript객체 트리로 저장합니다. 이 객체 트리는 "Store"라고 부르며, 이것은 앱 내에서 유일합니다. State is Read-Only(상태는 읽기 전용) : Redux에서..

프론트 엔드 개발을 하면서 자주 들었던 말로 Web Server가 있을 겁니다. Web Server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Web Server란? Web Server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웹 서버는 주로 HTTP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며, 사용자와 요청한 웹페이지나 다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정적 파일 서비스 : 웹 서버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정적 파일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파일에는 HTML, CSS, JavaScript 파일, 이미지 및 비디오 등이 포함 될 수 있니다. HTTP 지원 : 웹 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클라이언트와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어야 합니다. HTTPS 지원 : 많은 웹 서버..

우리가 쉽게 인터넷에 접속할 때 URL에는 http:// 또는 https://로 되어 있을 겁니다 이번에는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HTTP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HTTP 프로토콜이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웹을 개발하는 사람이라면 알아야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 프로토콜(Protocol) : 컴퓨터들끼리 HTML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소통방식 또는 약속 하단의 사진처럼 http, https가 프로토콜입니다. 웹에서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방식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론트 엔드 개발자라면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지식입니다. HTTP 프로토콜의 특징 무상태성(Stateless) : 각각의 요청 간..

Request를 요청했을 때 GET과 POST 방식이 있다는 것은 개발자라면 알고 있을 내용입니다. 그래서 GET과 POST를 비교하고 특징을 정리하겠습니다! GET 메소드란? GET은 HTTP 프로토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소드 중 하나로, 특정 리소스의 표현을 요청하는 데 사용됩니다. GET 메소드의 특징 GET 요청은 URL에 매개변수를 추가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GET은 주로 조회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GET 요청은 브라우저에 캐시할 수 있습니다. URL에 매개변수가 포함되므로 길이 제한이 있습니다.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예 :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OST 메소드란? POST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하려 할 때 주로..

AJAX를 이야기는 많이 들어봤는데 어떤 것인지 확실하게 몰라서 공부 겸 포스팅하게되었습니다! AJAX란?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로, 웹 페이지를 새로고침하지 않아도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보낼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며, 서버와 비동기적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웹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에서 폼을 채우고 이를 웹 서버로 제출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웹 서버는 요청된 내용에 따라서 데이터를 가공하여 새로운 웹 페이지를 작성하고 응답으로 되돌려 줍니다. 하지만 코드를 수정하거나 결과물로써 되돌려 받은 페이지는 유사한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HTML 코드를 모두 다시 한번 전송해야하므로 낭비가 될 ..

면접 준비를 하면서 공부하는 겸 블로그 정리하려고 합니다. 면접 질문 목록에서 자바스크립트와 React같은 프론트엔드 개발 질문 목록이다 보니 개념이 중요한 것같습니다. 그래서 기본적인 Javascript의 동작원리에 대해 공부하고 포스팅했답니다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의 동작 원리 자바스크립트 ( javascript )는 싱글 스레드 기반 원리로, 한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동기 처리를 통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Async인가요..?) Javascript 엔진은 Call Stack, Web API(블라우저 제공), Task Queue(Event Queue), Event Loop로 구성됩니다. ** JavaScript 엔진 :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