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생성할 때
애노테이션은 거의 필수 이다(@Annotation)
@Annotation이란
: 주석
코딩에서는 Annotation을 사용하여 주석처럼 특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
프로그램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할 수 있음
Spring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은 ( 내가 생각하는..! )
@Controller
spring의 컨트롤러를 의미함
MVC 패턴의 Controller
@ReqeustMapping
웹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URL로 웹 페이지를 불러오면
어떤 method가 처리할지 mapping해주는 것
해당 URL에 필요한 데이터를 어떻게 보여줄 건지 구분하는 것
원래는 Get, Post 방식이 있는데 default는 GET이다!!
** GET과 POST 차이점 포스팅 하겠움
@Repository
: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구조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구조
DAO
DataBase에 접근하는 method를 가지고 있는 Class에서 쓰임
@GetMapping
: 앞서 이야기했던 RequestMapping과 비슷한데 무조건 GET하도록 하는 애노테이션
RequestMapping( Method = RequestMethod.GET)와 같다
@PostMapping, @PutMapping @PatchMapping, @DeleteMapping 등이 있음
@Autowired
가장 중요함!! 제일 유용할 거 같음!
: 무조건적인 객체에 대한 의존성을 주입시킨다
@Autowired를 사용하면 스프링이 자동적으로 값을 할당한다
-> 컴포넌트 스캔을 설정하여 setter() 메소드를 대체 가능함
외부패키지에 정의된 클래스에 접근하여 setter해야하는데 미리 불러와줌...!
참고
https://velog.io/@ruinak_4127/Annotation%EC%9D%B4%EB%9E%80
'백 > Spring,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경로 변수(path variables) @PathVariable, @RequestParam (0) | 2023.07.04 |
---|---|
[Spring] 한글 깨짐 방지 (0) | 2023.07.04 |
[Spring]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0) | 2023.06.27 |
[Spring] @ReqeustMapping controller에서 URL 매핑하는 방법 (0) | 2023.06.27 |
[Spring] 스프링(Spring)이란?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