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디비버 설치 방법과 데이터 베이스 생성해보겠습니다.
디비버 설치 방법은 간단합니다. 물론 생성하는 것도 간단합니다ㅎㅎ
저는 mac을 사용하기 떄문에 설치 부터 작성해드리겠습니다 (이미 설치를 해버려서 사진은 부분만 있습니다)
디비버(DBeaver) 설치하기
Download | DBeaver Community
Download DBeaver Community 24.2.4 Released on November 3rd 2024 (Milestones). It is free and open source (license). Also you can get it from the GitHub mirror. System requirements. DBeaver PRO 24.2 Released on September 9th, 2024 PRO version website: dbeav
dbeaver.io
1. 위 사이트에서 본인 사양에 맞춰서 다운로드를 진행해줍니다.
Mac은 두개의 사양을 확인해줍니다.
2. install 완료
디비버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1. 디비버 실행
2. 파일 -> 새로 만들기
3. Database Project 선택 -> 다음
4. 프로젝트 명 입력 -> 완료
5. DB 프로젝트 생성 완료
DB 연결(local에 데이터베이스 설치 및 생성완료 되어야 합니다!)
6. 왼쪽 상단 콘센트 모양 클릭(새 데이터 베이스 연결)
7. 생성할 디비 검색 -> 선택 -> 다음
8. 데이터베이스 정보 입력 -> 완료
1. URL : 개인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니까 localhost로 지정 됩니다. (포트번호 3306은 데이터베이스 기본 포트번호입니다.)
2. Database : 실제 생성할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3. Username : 데이터 베이스 접속할 때 사용할 ID입니다.
4. Password : 데이터 베이스 접속할 때 사용하는 PW입니다.
9. 데이터 베이스 라이브러리 설치
(이미지 캡처 못했네요..)
10. 데이터 베이스 연결 완료
호스트 url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다면 연결 완료 됩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툴이 디비버입니다.
저는 마이에스큐엘을 사용하지만 mysql 워크벤치를 사용하기보다 여러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할 수 있는 디비버에 익숙해지려고 합니다.
그래서 워크 벤치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 터미널로 데이터 베이스만 생성하고 디비버에 연결했습니다.
다음에는 터미널로 데이터베이스 생성에 대한 글 작성하겠습니다!
'백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맥북(mac)에서 데이터베이스 로컬에서 설치부터 생성하기(feat.디비버 연결하기) Mysql 설치하기, 데이터 베이스 생성하기 (2) | 2024.11.19 |
---|---|
[SQLD] 데이터 모델링이란 (1) | 2023.11.07 |
[데이터베이스] MySQL(마이에스큐엘)과 MariaDB(마리아 디비)의 차이점 (2) | 2023.11.06 |
[MariaDB] 윈도우(Window) 마리아 디비(Maria DB) 설치하기 (2) | 2023.11.02 |
[SQL] 데이터베이스 CRUD - 테이블 생성, 데이터 추가, 수정, 삭제 (0) | 2023.10.27 |